본문 바로가기
카테고리 없음

계약이론과 효용함수

by e-money2580 2022. 12. 21.
반응형

1. 계약이론의 개요

계약 당사자에게 적절한 행동과 커뮤니케이션을 통해 정보 비대칭성을 최소화하는 인센티브를 제공함으로써 최선의 계약을 특정짓는 것

 

2. 계약이론의 종류

광의의 계약이론 : 인센티브 이론, 정보 경제학, 조직론을 포함

방법론적 계약이론 : 게임이론의 부분집합

1. 계약 당사자 중 일방이 모든 협상력을 가지고 있다.

2. 균형 문제보다는 최적화 문제를 다룬다.

 

3. 계약이론의 세분화

도덕적 해이: 경제 행위자의 숨겨진 행동으로 인해 계약상대방이 얻는 결과가 달라진다.

정보 비대칭성 문제: 계약 상대방간에 보유한 정보가 다르다.

불완전한 계약: 미래의 모든 상황(경우)를 상정하여 계약을 체결할 수 없다.

이러한 문제들로 인해 계약이 체결되지 않거나 비효율성이 발생

 

4. 효용함수

  - (가정) 경제 행위자는 A와 B의 두 재화를 소비한다
  - (질문) 경제 행위자는 대체 관계에 있는 두 소비재를 어떠한 조합으로 소비하기를 선호하는가?
  - 경제학에서 선호는 효용함수로 표현된다. u(CA, CB): 두 재화의 수량을 함수에 넣으면 효용의 값이 결과로 도출됨.
  - (기술적 가정) 효용함수 u(c) c에 관하여 2번 미분 가능

 

5. 순서의 특성을 갖는 효용함수

  1. 주어진 효용함수에서 경제 행위자는 더 높은 값을 갖는 소비조합을 선호한다.  
  2. 함수의 결과값 자체는 경제학적 의미를 가지지 않는다.
  3. 함수 결과값이 음수이면 소비가 경제 행위자를 불행하게 만든다는 것을 의미한다.
  4. 서로 다른 효용함수에 대한 소비재 조합의 결과값은 서로 비교할 수 있다.

 

6. 일반적으로 받아들일 수 있는 효용함수의 특성(조건)

  - (가정) 단일 소비재
  - 한계효용함수 : u'(c) = du / dc : u(c)의 1계 미분 : 추가적인 1단위의 소비에 대한 효용의 변화
  - (특성1) 단조성 : 소비가 증가하면 효용은 증가한다. (u'(c) > 0)
  - (특성2) 오목성 : 한계효용은 소비가 증가할 수록 감소한다. (u''(c) ≤ 0)= 한계효용체감의 법칙

 

7. 도박, 평균, 분산

  - 도박이 확률적인 결과를 갖는다고 할 때, 도박의 결과는 W, 확률은 P
  - 여기서 자주 사용되는 통계치는 아래와 같다.
   1. 기대값 : E() =  (각 결과값에 확률을 곱한 값의 합계)
   2. 분산 : Var() =  (각 결과값에 기대값을 차감한 값의 제곱에 확률을 곱한 값의 합계)
   3. 표준편차: 분산의 제곱근

 

8. 폰 노이만-모겐스턴 기대효용함수

  - 아래 두 가지 도박이 있다.
   1. A: 동일한 확률 0.5로 10원 또는 0원을 받는다.
   2. B: 확정적으로 5원을 받는다.
  - (질문) 어떤 도박을 선호하는가?
  - 기대효용함수는 아래와 같이 도박에 대한 선호도를 나타낸다.
      : 도박의 결과에 대한 기대효용함수 값은 각 도박의 결과의 효용함수 값에 확률을 곱한 값의 합계와 같다.

        (= 각 도박 결과에 대한 효용값의 기대값)

반응형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