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카테고리 없음

메커니즘 설계와 진실을 말하도록 하는 원칙(2)

by e-money2580 2022. 12. 21.
반응형

1. revelation principle

  - 매커니즘 Γ가 베이즈 내시 균형 BNE(Bayesian Nash Equilibrium) m* ≡ (m1*, m2*, ... , mN*)를 가지며, m*는 자원배분 y(m*)을 생성한다. 그러면, 직접 드러내기 메커니즘(direct revelation mechanism) Γd ≡ {M' ≡ Θ, (m')}이 존재하며, 이 때 이 매커니즘의 베이즈 내시 균형 BNE은 m'i = θi와 (θ) = y(m*)에 대응한다. (= 균형상태는 대리인이 자신의 타입을 사실대로 말하는 상태를 말하며, 균형상태에서는 타입에 따른 자원배분이 타입에 따른 자원배분과 동일하다
  - 직접 매커니즘 Γd은 타입 공간 Θ(즉, 대리인은 자신의 타입을 주인에게 보고)에 대응한다
  - revelation principle은, 균형상태에서 대리인이 사실대로 자신의 타입을 보고하고 자원을 배분하는 경우, 임의의 간접 매커니즘에 대응하는 직접 매커니즘이 존재한다는 것을 의미한다.

 

2. 증명결과

  - 매커니즘 Γ의 임의의 BNE에 대해 직접 매커니즘의 BNE가 존재한다. 이 때 mi* = θi이고(= 사실을 말하는 것이 대리인에게 최적의 전략이다) 대리인은 매커니즘 Γ의 BNE에서와 동일한 자원배분을 받는다

 

3. 함의

  - 일반성의 손실 없이도 direct revelation mechanism(=truth telling mechanism)에 초점을 맞춤으로써 최적의 매커니즘을 찾을 수 있다
     1. 자원배분 규칙 y가 매커니즘 Γ에서 실행 가능하다면, 직접 매커니즘 Γd에서도 실행 가능하다
     2. 즉, y가 임의의 간접 매커니즘에서 실행 불가능하다면, 임의의 매커니즘에서 실행 불가능하다 
  - Myerson(1979)는 대리인이 행동을 취할 때에 revelation principal이 성립한다는 것을 보여준다 
  - revelation principal은 지배적인 전략 균형(dominant strategy)에 대해서도 성립한다
  - 재협상이 가능하다면 revelation principal은 성립하지 않는다
  - 직접 매커니즘 Γd에서 대리인이 자신의 타입을 사실대로 보고하지 않는 기타 BNE가 존재할 수도 있다
  - 주인은 실행의 단순함, 균형의 유일함, 대리인 간 발생 가능한 공모에 대응하는 강건함 등을 고려하여 동일한 균형 자원배분을 제안하는 매커니즘 중 하나의 매커니즘을 선택한다 

 

4. 간접 소통 매커니즘

  - 주인과 대리인이 대화하고 그에 따라 자원 배분이 이뤄지는 매커니즘( Γ )Γ ≡ {M, y(m)} : M은 주인과 대리인 간의 모든 의사소통 방법 message(설문지, 면담 등) y(m)은 주인-대리인 간 의사소통 이후 일어나는 자원배분Mi는 대리인 i의 message(=strategy) 공간. N명의 대리인이 존재하므로 N개의 message 공간, 즉 N개의 간접 소통 매커니즘이 존재
  - Mi는 모든 가능한 message(strategy)의 조합을 포함
  - Timeline: 1. 주인이 모든 대리인에게 매커니즘 Γ를 제안2. 대리인은 동시에 참여여부를 결정하고   3. Γ를 이행

반응형

댓글